[Jenkins] Jenkins 를 사용하여 Spring boot 자동 배포 해보기 (1부)

2025. 2. 4. 14:48Jenkins

요즘 Spring boot 로 넘어오면서 같이 공부하고 있는 Docker 와 Jenkins , Git Hub를 활용하여 로컬에서 작업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개발서버에 자동으로 배포 될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저도 처음 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연습삼아 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우선 자동배포라고해서 자료를 찾아보니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가 Jenkins 여서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여 진행해 보았습니다. 

 

우선 Docker 를 사용하여 Jenkins 이미지를 받은후 실행 시켜봅니다.

 

Docker Hub 로 접속해서 jenkins 를 검색하여 pull 받습니다.

 

https://hub.docker.com/r/jenkins/jenkins

 

https://hub.docker.com/r/jenkins/jenkins

 

hub.docker.com

 

docker pull jenkins/jenkins



잘 받아졌는지 확인해 보려면

docker images

 

 

jenkins/jenkins 가 보인다면 잘 받아진것 입니다.

 

이제 docker run 으로 jenkins 를 설치해 봅시다 기본포트는 8080 으로 되어있지만 저는 포트가 중복될수 있어서 8888 로 변경하여 설치 하였습니다.

docker run -d \
  --name jenkins-docker \
  -p 8888:8080 \
  -p 50000:50000 \
  -v jenkins_home:/var/jenkins_home \
  jenkins/jenkins:lts

 

실행이 되어지고 해당 포트로 접속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입니다.

 

 

그러면 저기 Administrator Password 에는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해당경로를 들어가 보면 키값이 있을 것입니다. 해당 키 값을 입력하고 Continue 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우린 현재 docker 를 사용하고있으니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docker 안으로 진입해 봅시다.

docker exec -it jenkins-docker /bin/bash

 

접속 했으면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에 들어 있는값을 확인 해 봅시다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9a2e1093921a65e2238aa51ecb14da5c4d

 

저는 9a2e1093921a65e2238aa51ecb14da5c4d 값이 나오네요 해당 값을 input box 안에 입력해 봅시다 .

 

입력하고 continue 를 누르면 아래와같이 어떻게 설치 할지 물어보는데 그냥 스텐다드로 설치하기 위해 왼쪽을 눌럿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뭔가 열심히 설치되어지고 있는것이 보입니다.

 

 

완료가 되면 아래와같이 ID , PW 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본인이 앞으로 Jenkins 에 로그인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다음페이지에 접속 URL 이 나오고 앞으로 해당 URL 로 접속시 jenkins 페이지가 보일것입니다.

 

 

이화면 까지 나오시면 이제 jenkins 설치는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글이 길어질꺼 같아서  2부 에서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Jenkins] Jenkins 를 사용하여 Spring boot 자동 배포 해보기 (1부)

[Jenkins] Jenkins 를 사용하여 Spring boot 자동 배포 해보기 (2부)

[Jenkins] Jenkins 를 사용하여 Spring boot 자동 배포 해보기 (3부)